
[머신러닝] Chap 2 - 모델 선정과 성능평가
머신러닝 모델 선정과 성능 평가에 관한 내용으로, Out-of-Bag 예측, 파라미터 튜닝, 모델 성능 측정(MSE,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 등), 혼동 행렬, ROC 곡선, 비용 민감 오류율, 다양한 통계 검정 방법(이항 검정, t-test, 맥니마 검정 등), 그리고 편향-분산 분해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머신러닝 모델 선정과 성능 평가에 관한 내용으로, Out-of-Bag 예측, 파라미터 튜닝, 모델 성능 측정(MSE,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 등), 혼동 행렬, ROC 곡선, 비용 민감 오류율, 다양한 통계 검정 방법(이항 검정, t-test, 맥니마 검정 등), 그리고 편향-분산 분해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머신러닝의 기본 용어와 개념을 설명하며, 데이터 세트, 인스턴스, 속성, 가설 공간, 귀납적 학습, 그리고 알고리즘의 편향에 대해 논의합니다. 80년대 일본 경제와 관련된 주요 요소인 버블 경제와 플라자 합의의 영향을 설명하고, 머신러닝의 목표는 좋은 일반화 능력을 갖추는 것임을 강조합니다.
Precaution 서울대학교 김영 교수님의 과학의 철학적 이해 23-2 의 Lecture note 입니다. 자연계의 유일한 낭만주의자 의인화, 애니미즘, 주술적 사고방식 등의 등장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가질 수 있는 것 처럼 상상할 수 있게 됨 의인화(anthropomorphism) 인간이 아닌 존재를 인간의 마음을 가질 수 ...
Precaution 서울대학교 김영 교수님의 과학의 철학적 이해 23-2 의 Lecture note 입니다. 사회적 지능의 “범람” - 인지 유동성 유발 하라리의 주장 요약 유발 하라리의 주장에 따르면, 유전자 돌연변이가 사피엔스의 뇌의 내부 배선을 바꿈.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믿는 능력” 을 가지게 됨. 수많은 사람...
Precaution 서울대학교 김영 교수님의 과학의 철학적 이해 23-2 의 Lecture note 입니다. 마음 이론과 거울 체계 마음 이론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 : 타인의 마음이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것. (타인의 머릿속으로 들어가서 볼 수 없다.) 모방 다른 개체의 행동을 그대로 따라하는 것이 매우 효율적 학습 방법 및 행동 전략...
Precaution 서울대학교 김영 교수님의 과학의 철학적 이해 23-2 의 Lecture note 입니다. 우리의 뇌는 무엇을 위한 것일까? 오래된 물음 : 어떻게 만물의 영장이 될 수 있었을까? 오래된 답변 : 커다란 뇌로부터 나오는 지능이 다른 존재보다 탁월했기에 문명 발전을 이루고 만물의 영장이 될 수 있었음. 인간의 커다란 뇌...
Precaution 서울대학교 김영 교수님의 과학의 철학적 이해 23-2 의 Lecture note 입니다. 진화생물학 및 진화심리학적 고찰 현대인과의 원시인의 차이? : 통념적으로 몸도 다르고, 마음(뇌의 능력)도 매우 다르다고 생각하나, 양복을 입은 원시인에 불과한 것이 아닌가? 인간의 본성은 선사시대에 대부분의 시스템(몸과 마음)이...
인간의 자기중심성을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하며, 자문화중심주의와 과학의 의미를 탐구한다. 자문화중심주의는 자신의 문화적 기준으로 타 문화를 평가하는 태도를 설명하고, 과학은 인간이 자기중심성을 벗어나도록 돕는 수단으로 제시된다. 인간은 자연의 일부로서 특별한 존재가 아님을 강조하며, 과학 탐구의 본질과 인간의 인식 편향, 오류 관리 이론을 통해 생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