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gerhythm
.

[과철이] Lec 08 - 사피엔스 : 자연계의 유일한 낭만주의자

Precaution 서울대학교 김영 교수님의 과학의 철학적 이해 23-2 의 Lecture note 입니다. 자연계의 유일한 낭만주의자 의인화, 애니미즘, 주술적 사고방식 등의 등장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가질 수 있는 것 처럼 상상할 수 있게 됨 의인화(anthropomorphism) 인간이 아닌 존재를 인간의 마음을 가질 수 ...

Preview Image

[과철이] Lec 07 - 인지 유동성 : 사회적 지능의 범람

Precaution 서울대학교 김영 교수님의 과학의 철학적 이해 23-2 의 Lecture note 입니다. 사회적 지능의 “범람” - 인지 유동성 유발 하라리의 주장 요약 유발 하라리의 주장에 따르면, 유전자 돌연변이가 사피엔스의 뇌의 내부 배선을 바꿈.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믿는 능력” 을 가지게 됨. 수많은 사람...

Preview Image

[과철이] Lec 06 - 마음 이론과 거울 체계

Precaution 서울대학교 김영 교수님의 과학의 철학적 이해 23-2 의 Lecture note 입니다. 마음 이론과 거울 체계 마음 이론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 : 타인의 마음이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것. (타인의 머릿속으로 들어가서 볼 수 없다.) 모방 다른 개체의 행동을 그대로 따라하는 것이 매우 효율적 학습 방법 및 행동 전략...

Preview Image

[과철이] Lec 05 - 진화론적 관점의 사회적 뇌

Precaution 서울대학교 김영 교수님의 과학의 철학적 이해 23-2 의 Lecture note 입니다. 우리의 뇌는 무엇을 위한 것일까? 오래된 물음 : 어떻게 만물의 영장이 될 수 있었을까? 오래된 답변 : 커다란 뇌로부터 나오는 지능이 다른 존재보다 탁월했기에 문명 발전을 이루고 만물의 영장이 될 수 있었음. 인간의 커다란 뇌...

Preview Image

[과철이] Lec 04 - 진화생물학, 진화심리학적 고찰, 과학의 비자연적 본성

Precaution 서울대학교 김영 교수님의 과학의 철학적 이해 23-2 의 Lecture note 입니다. 진화생물학 및 진화심리학적 고찰 현대인과의 원시인의 차이? : 통념적으로 몸도 다르고, 마음(뇌의 능력)도 매우 다르다고 생각하나, 양복을 입은 원시인에 불과한 것이 아닌가? 인간의 본성은 선사시대에 대부분의 시스템(몸과 마음)이...

Preview Image

[과철이] Lec 03 - 인간의 자기중심성 : 사회•문화적 접근

인간의 자기중심성을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하며, 자문화중심주의와 과학의 의미를 탐구한다. 자문화중심주의는 자신의 문화적 기준으로 타 문화를 평가하는 태도를 설명하고, 과학은 인간이 자기중심성을 벗어나도록 돕는 수단으로 제시된다. 인간은 자연의 일부로서 특별한 존재가 아님을 강조하며, 과학 탐구의 본질과 인간의 인식 편향, 오류 관리 이론을 통해 생존...